5대 금융지주 2분기 ‘부실채권’ 12조 돌파

2024.08.05 10:50:11

PF 구조조정 후폭풍…5대 금융 부실지표 최악
총여신 대비비율 0.62% 5년 만에 최고치
부실채권 매각·충당금 적립에 속도를 내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고금리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여파가 오랜 기간 지속되면서 국내 금융권에서 내준 대출의 부실 위험이 5년 만에 최고치로 치솟았다. 특히, 최근 부동산PF 사업성 평가 과정, 책임준공형 관리형 사업장 재분류 등의 영향으로 5대 금융권의 부실채권(고정이하여신·NPL)이 많이 늘어났다. 이로 인해 5대 금융은 부실채권이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하기 위해 지속해서 부실채권을 상각 또는 매각하는 한편, 부동산PF 관련 대손충당금 적립에 박차를 가하는 모양새이다.
 

5대 금융 부실지표 ‘최악’

 

지난달 29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올해 2분기 기준 연체 기간이 3개월 이상 고정이하여신(부실채권·NPL)은 약 12조3,930억 원으로 집계됐다. 
총여신(2002조4,354억원) 대비 고정이하여신비율은 0.62%로 지난 2019년 1분기(0.63%) 이후 가장 높았다.


각 지주 별로 살펴보면 고정이하여신비율이 4~7년 만에 최고 수준까지 증가했다. KB금융과 신한금융이 0.68%로 가장 높았고, 농협금융 0.59%, 하나금융과 우리금융은 0.56 %로 그 뒤를 이었다. 하나금융은 2019년 2분기(0.56%) 이후, 우리금융은 2019년 1분기 지주사 출범 이후 최고치였다.
부동산PF 사업성 평가기준 변경에 따라 기존 PF 사업장에 대한 재평가와 책임준공형 사업장 재분류가 일어나면서 2분기 고정이하여신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금융당국은 부동산PF 사업성 평가기준을 기존 3단계에서 4단계(양호·보통·유의·부실 우려)로 세분화하는 등 부실 가능성 있는 사업장들에 대한 엄격한 관리를 주문했다.

 

5대 금융 중에는 KB금융과 신한금융이 0.68%로 높은 편에 속한다. KB금융은 지난 2018년 1분기(0.70%) 이후, 신한금융은 2017년 2분기(0.72%)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농협금융이 0.59%로 뒤를 이었는데 역시 2020년 1분기(0.60%)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금융권에 따르면 2분기 고정이하여신이 늘어난 것은 부동산PF 사업성 평가 기준에 따른 재평가, 책임준공형 관리형(책준형) 사업장 재분류 등 영향이 크다.
책준형 토지신탁의 경우 PF 사업장 시공사가 준공기한을 지키지 못하면 부동산신탁사에 책임준공 의무가 발생한다.


박장근 우리금융 최고리스크담당자(CRO)는 최근 2분기 실적 관련 콘퍼런스콜에서 “부동산PF 사업성 평가와 관련해 1,800억 원 정도가 재분류됐고, 책준형 사업장도 440억원 정도가 NPL 쪽으로 분류됐다”며, “NPL이 증가한 것은 부동산PF 사업성 평가, 책준형 사업장 분류, 고금리 지속에 따른 연체 증가 등이 주요인”이라고 말했다.
부동산신탁사가 대체 시공사 선정 등을 통해 기한 내에 준공을 마무리하지 못하면 부동산신탁사의 우발채무가 현실화할 수 있어 PF 관련 위험요인으로 꼽힌다.

 

신한 2700억·KB 800억 추가 충당금 적립

 

5대 금융은 부실채권이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기 위해 지속해서 부실채권을 상각 또는 매각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에만 5대 은행은 3조 원이 넘는 부실채권을 털어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상반기 2조2,232억 원을 정리했던 것과 비교해 1.47배(1조4,72억원) 증가한 통계이다. 
아울러, 부실채권 상·매각 뿐만 아니라 부동산PF 관련 대손충당금 적립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5대 금융지주는 부동산PF와 관련해 이번 분기 추가충당금(충당부채)도 적립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한금융은 부동산PF에 대한 개별 사업성 평가 등을 통해 2,714억 원의 추가충당금을 적립한 것으로 파악됐다. 구체적으로 부동산 자산신탁 책준형 관련 1,827억 원, 부동산PF 사업성 평가 관련 886억 원으로 나타났다.
2분기 PF와 관련해 우리금융은 충당금 약 800억 원을 적립했다. KB금융은 2분기 부동산신탁에서 쌓은 충당금이 800억원 정도였고, 하나금융은 PF 충당금으로 408억원을 추가 적립했다.
금융지주 CRO들은 콘퍼런스콜에서 부동산 F 위험을 잘 관리하고 있다면서도, PF 시장에 대한 경계감을 늦추지 않는 분위기이다. 


최철수 KB금융 CRO는 “KB의 경우 선순위가 95% 이상이고 사업장도 대부분 수도권이라 PF 퀄리티가 우수한 편이지만 PF 시장이 낙관적으로 돌아섰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며 “금리 인하 속도, 부동산 시장 상황, 정부의 PF 구조조정, 정상 사업장에 대한 유동성 공급 등이 선결 과제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홍경의 tkhong1@hanmail.net
Copyright @2024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
시사뉴스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서울] (05510)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35가길11 (신천동) 한신빌딩 10층 TEL : (02)412-3228~9 | FAX : (02) 412-1425
창간발행인 겸 편집인 회장 강신한 | 대표 박성태 | 개인정보책임자 이경숙 | 청소년보호책임자 박정민 l 등록번호 : 서울 아,00280 | 등록일 : 2006-11-3 | 발행일 : 2006-11-3
Copyright ⓒ 1989 - 2024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 Contact webmaster@sisa-news.com for more information
시사뉴스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