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4.04.25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박웅준의 역사기행

[역사기행] 신라의 미니멀리즘, 반가사유상의 삼산관

URL복사

인도에서 한국까지, 그 시간과 문화 이야기

[시사뉴스 박웅준 칼럼니스트] 얼마 전 매우 반가운 소식을 접했다. 강원도 영월군에 있는 절터인 흥녕선원지(興寧禪院址)에서 신라 시대 작품으로 추정되는 반가사유상이 발굴됐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반가사유상은 마애불 외에 모두 출토지가 명확하지 않았다.

이번에 발견된 작품이 진품이라면 아직 미진한 우리나라 고대 미술사 서술에 큰 도움이 될 것이 분명하다. 문화재청에서 발표한 출토품의 사진을 보았다. 오른손을 뺨에 살짝 갖다 댄 채
가부좌에서 한쪽 발을 내리고 의자에 앉아서 명상하는 전형적인 반가사유상이다. 작품은 높이 15cm의 소형이며 전체적인 분위기는 6세기 말에서 7세기 초 사이의 양식을 보여주고 있다. 

상반신이 나형(裸形)에 화려한 장식이 없고 삼산관(三山冠)을 쓰고 있는 당대 대표작인 국보 제83호를 모본(模本)으로 한 듯하다. 가장 유사한 예는 크기와 형식면에서 유사한 경주 인왕동 출토로 알려진 금동반가사유상이 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두꺼운 녹이 덥혀있고 얼굴과 관이 일부 손상되어 있어 진위를 비롯한 양식문제 등은 보존처리와 과학적 분석을 한 후 깊이
논의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 작품의 특징 가운데 하나인 삼산관은 앞서 언급한 작품들 외에 경주 단석산 신선사 마애불상군(국보 제199호)의 반가사유상, 황룡사지 출토 금동불두(金銅佛頭), 일본의 교토 우즈마사(太秦)에 있는 고류지(廣隆寺·광륭사)의 목조반가사유상에서도 보인다. 이로 미루어 볼 때 삼산관은 주로 신라문화권 반가사유상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반가사유상이 시작된 간다라(Gandhara)와 이를 이어받은 중국의 반가사유상은 화려한 보관(寶冠)과 장식을 하고 있고 같은 시기 백제의 반가사유상 또한 보관을 쓰고 있다.
그렇다면 왜 신라의 반가사유상은 화려한 보관을 버리고 소박한 삼산관을 쓰게 되었을까?
반가사유상(半跏思惟像)은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에서는 미륵보살(彌勒菩薩)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명문(銘文)이나 기록 같은 명확한 근거가 없고 중국에서는 반가사유상을 사유상(思惟像) 또는 태자상(太子像)으로 불렸다는 것이 주목받으면서 미륵이라는 호칭이 공식적으로 불리지 않게 되었다. 

그러나 극히 드물지만, 일본과 중국에서 반가사유상을 미륵이란 한 예도 있고 기존 연구된 바와 같이 우리나라와 일본의 반가사유상은 미륵으로 볼 수 있는 도상적 근거가 있으므로 이 문제는 보다 많은 논의가 필요하다. 반가사유상이란 용어는 반가좌는 가부좌를 튼 상태에서 한쪽 다리를 내린 상태인 반가좌(半跏坐) 상태에서 사유(思惟)한다는 뜻이다. 

명문이 비교적 많이 남아있는 중국에서는 반가사유상을 사유상이라고 지칭하는 예가 많이 발견되어 반가좌에 한쪽 손을 얼굴에 닿은 모습이 사유하는 자세임을 확인할 수 있다. 사유(思惟)란 대상을 구별하고 생각하고 살피고 추리하고 헤아리고 판단하는 것 또는 마음속으로 깊이 생각하는 것을 말하는데, 불교에서는 진리에 상응하는 사유를 정사유(正思惟)라고 하며 수행을 하는데 필요한 8정도(八正道) 중 하나다. 반가사유상은 불상이 발생한 간다라에서 처음 발견된다. 이 상이 태자상인지 아니면 다른인물이나 보살상인지 확실하지 않지만,불교적 사유를 표현한 것임은 분명하다. 지금으로부터 약 2580년 전 석가모니는 현재의 네팔 남부와 인도의 국경 부근인 히말라야산기슭의 카필라성(Kapilavastu) 샤키야족(석가족, 釋迦族)의 작은 나라의 왕인 슈도다나와 마야부인 사이에서 태어났다. 

태생이 왕자였기 때문에 출가 전에는 화려한 의관(衣冠)을 갖췄을 것이다. 특히 머리에는 높은 신분을 상징하는 인도 고유의 터번(turban)을 썼을 것이며 이는 간다라의 싯다르타상에서 그 형태를 잘 볼 수 있다. 불상이 동점(東漸)함에 따라 터번은 그 상징성이 유지되지만, 형태가 지역과 시대에 따라 변한다. 중국에서는 불전이 한역(漢譯)될 때 터번은 머리에 쓰면서 높은 신분을 상징하는 보관(寶冠), 천관(天冠)이라고 하는 중국적 관념으로 대치되는데 형태는 통천관과 같은 중국 고유의 관과는 차이를 보인다. 

이는 상을 만들 때 인도의 태자 또는 높은 신분의 인물이란 것을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불상의 의복 등 여러 외래적 이미지가 중국화가 되는 것과 비교해 이질적인 요소가 강한 부분이다. 반가사유상을 비롯해 우리나라·중국 보살상의 관은 크게 두 가지 계통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인도 터번(turban)과 관식(crown)의 영향이다. 터번을 장식한 보석이나 화만(꽃장식) 그리고 원반(disk)의 위치나 장식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나타나는데 굽타 시대에는 높게 올라간 고관(高冠) 형태의 관식도 등장한다. 터번을 똑같이 모방하진 않았지만, 터번의 장식이 여러 형식으로 변화되어 관과 결합하거나 굽타시대 고관의 영향을 받는 등 다양한 형식으로 등장한다.

두 번째는 중앙아시아 관식의 영향이다. 디아뎀(diadem)과 두 개의 흩날리는 리본장식, 초승달, 새의 날개 등은 사산조 페르시아의 영향이며, 이의 영향을 받은 에프탈(Ephthalites)과 소그드(Sogd)인은 이러한 계통의 관을 직접 착용하기도 했다. 국보 제78호 금동반가사유상의 관이 대표적으로, 당시(6-7세기) 역사적 관계를 봤을 때 직접적인 사산조의 영향 보다는 당시 활발한 무역 활동을 했던 소그드의 영향이 더 컸을 것으로 생각된다.



신라 반가사유상이 쓴 삼산관은 이러한 면에서 매우 독특하다. 그 기원을 본다면 관은 화려해야 한다. 관만큼은 중국이나 한국적이지 않은 외래적 요소가 강했다. 그러나 신라의 삼산관은 높은 신분이 쓰기에는 초라하고 단순하다. 그리고 신라 사회에는 없던 관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삼산관은 인도 터번 장식이 중앙아시아와 중국을 거쳐 관에 부착된 3개의 원형장식으로 변화하고 이것이 3개의 산봉우리 형태가 간략화된 것으로 파악된다. 외래영향이 분명하지만 최소한의 요소만을 사용하여 대상의 본질을 표현하는 현대의 미니멀리즘(Minimalism)에 가까운 표현방법이다.

이러한 삼산관은 사유상의 헤어스타일과도 일체감을 이룬다. 다른 사유상이나 보살상이 높은 상투를 틀거나 뒤로 늘어뜨린 긴 머리를 하고 화려한 보관을 쓴 것과 비교하면 머리 선만 간략하게 표현하여 삭발(削髮)한 것처럼 보인다. 싯다르타 태자는 출가 후 머리를 자르는데 그머리를 같이 묶은 터번은 무쿠타(mukuta)라는 터번이며 보관(寶冠, jewelled crown)으로 번역되었다. 그 보관에 있는 보석(mani)과 터번(또는 머리카락)은 천상에서 성물로서 탑이 세워져 숭배 받기까지 한다. 이로 미루어 삼산관을 쓴 반가사유상의 성격은 싯다르타 태자와는 거리가 있어 보인다. 그렇다고 이미 성불을 한 부처는 더욱 아니다. 그렇다면 지금 정토인 도솔천에서 미래의 인간을 구제하기 위해 사유하고 있는 미륵보살이 맞을까? 

아직 알 수 없지만, 보살은 그 해답이 멀리 있지 않음을 은은한 미소로 보여주는 듯하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與 차기 원내대표 주자들 발걸음 시동...이철규 출마 최대 관심
[시사뉴스 김철우 기자] 국민의힘 차기 원내대표 경선 일정이 다음 달 초로 확정되면서 자천타천 거론되는 주자들 발걸음에도 시동이 걸리는 모습이다. 차기 원내대표는 22대 국회 첫 원내사령탑으로서 192석의 거야를 상대하며 윤석열 정부의 후반기 안정적 국정운영을 뒷받침해야 하는 막중한 역할이 요구되는 자리다. 아직 출마 의사를 직접 밝힌 의원은 없지만 당내에서는 벌써 서너명의 이름이 압축적으로 거론된다.최대 관심은 '친윤 핵심'으로 꼽히는 이철규(강원 동해·태백·삼척·정선) 의원의 출마 여부다. 이와 관련해 이철규 국민의힘 의원은 25일 "개인의 명예나 이익을 위해 뛰는 사람보다는 당을 잘 되게 할 사람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 의원은 아직 출마 여부에 관해 말을 아끼는 분위지만, 주변에서는 차기 지도부로 역할을 염두에 둔 '몸풀기'라는 시각이 많다. 이 의원은 강원일보와 인터뷰에서 "주변에서 역할을 요청하는 목소리가 있지만, 아직 깊이 고민해 보지 않았다"며 "지금은 당선자들이 같은 목표를 향해 갈 수 있도록 아우르는 게 제일 중요하다"고 말했다. 4선 반열에 오른 김도읍(부산 강서) 의원도 유력 후보 중 하나로 거론된다. 법제사법위원장 등 원내 경험이 탄

경제

더보기
[특징주] 소프트캠프, 日 최대 IT 전시회 '재팬 IT 위크' 참가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소프트캠프는 전날부터 오는 26일까지 일본 도쿄 빅사이트에서 열리는 일본 최대IT전시회 '재팬 IT 위크(Japan IT Week Spring)'에 참가하고 있다고 25일 밝혔다. 회사 측에 따르면 재팬 IT 위크는 일본 IT를 선도하는 기업과 전문가들이 참여해 클라우드 보안과 정보보안 등에 관련한 다양한 솔루션·서비스를 소개하고 최신 보안 이슈와 인사이트를 공유하는 자리다. 소프트캠프는 클라우드 섹션에 '제로 트러스트 텔레워크 보안 대책'을 주제로 참가한다. 제로 트러스트 기반의 웹 격리 보안 서비스 실드게이트(SHIELDGate)를 주력 서비스로 내세운다. 실드게이트는 일본 지자체 업무 단말에서 클라우드 서비스에 사용하는 데 있어 정보보호가이드라인이 요구하는 보안 조치를 충실히 준수한다. 리모트 브라우저 격리 기술은 내부망에서 클라우드 서비스 사용을 안전하게 돕는다. 격리된 웹 브라우저를 통해 사용 편의성과 업무 생산성을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망분리와 동일한 외부 위협 차단 효과도 제공한다. 일본 정부와 지자체 중심으로 권고하는 텔레워크도 제로 트러스트 기반으로 구현 가능하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사용자는 마이크로소프트 팀즈(Mi

사회

더보기
중국산 삶은 고사리를 데친 고사리로 허위 신고해 13억원 상당 부당 면제 받은 업체 적발
(사진=뉴시스 제공) [시사뉴스 박용근 기자] 중국산 '삶은 고사리'를 '데친 고사리'로 허위 신고해 13억 상당의 부가가치세를 부당하게 면제받은 수입업체가 세관당국에 적발됐다. 이 업체는 생활물가안정을 위해 개정된 시행 규칙에 따라 데친 고사리의 경우 부가가치세가 면제되는 점을 악용했다. 인천본부세관은 25일 지난 2022년 7월부터 지난해 10월 말까지 중국산 삶은 고사리를 데친 고사리로 거짓 신고해 부가가치세 13억원을 부당하게 면제받은 수입업체 13곳을 적발했다고 밝혔다. 이들 수입업체가 세관에 신고한 ‘데친 고사리’는 건조한 고사리를 조직이 연화될 정도로 열처리한 후 보존 용액에 담가 살균 처리한 ‘삶은 고사리’이다. 부가가치세법 시행규칙 개정 전에는 데친 채소류라도 소매 포장됐으면 부가가치세 과세 대상이어서, 소매 포장된 고사리는 데친 것이든 삶은 것이든 모두 부가가치세 대상이었다. 하지만 개정 후에는 소매 포장됐더라도 데친 고사리라면 부가가치세가 면제되는 점을 악용해 일부 수입업자들이 소매 포장한 ‘삶은 고사리’를 ‘데친 고사리’로 신고하면서 부가가치세를 면제받은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인천세관은 사후심사를 통해 그동안 부당하게 면제받은 물량 약

문화

더보기
한 산림과학자의 집념과 끈기가 밝혀낸 아픈 역사의 민낯 <전나무 노거수는 일제의 신목이다>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우리 땅에 있는 전나무 노거수(老巨樹)들의 대부분이 일제에 의해 심어졌다고 주장하는 책이 출간됐다. 북랩은 국립산림과학원 출신의 산림과학자가 전국 곳곳에 있는 전나무 노거수들이 일제의 잔재임을 고찰한 ‘전나무 노거수는 일제의 신목이다’를 펴냈다. 우리나라 남부지방의 환경은 전나무가 자생할 만한 생육조건과는 거리가 멀다. 1980년부터 약 40여 년간 산림과학을 연구하고 강의해온 저자는 우리 남부지방 곳곳의 사찰에 전나무 노거수들이 있는 것을 보고 호기심이 일었다. 이에 대한불교 조계종 24개 교구 본사와 조선 왕릉, 대관령 산신당, 이순신 장군의 사당인 통영 충렬사, 권율 장군의 묘소 및 각지의 공공시설을 답사하며 조사했다. 전나무가 가슴높이 직경 60~100cm 정도로 자라는 데는 80년에서 100년 이상이 걸린다. 저자가 답사한 각지의 전나무들 대다수의 크기가 이 가슴높이 직경에 해당했다. 즉, 이 전나무들이 사람에 의해 심어진 것이라면 1800년대 말에서 1900년대 중반까지 일제가 심었다는 추론이 가능하다. 그중에서도 가슴높이 직경 60~69cm급의 나무가 월등히 많은 것으로 보아 일제강점기 중의 특정 시기에 집중적으로 전나무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진정한 리더는 용장 지장 아닌 소통 능력 갖춘 덕장이어야
윤석열 대통령은 16일 오전 용산 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여당인 국민의힘이 참패한 4·10 총선 결과에 대해 “취임 후 2년 동안 올바른 국정의 방향을 잡고 이를 실천하기 위해 최선을 다했음에도, 국민께서 체감하실 만큼의 변화를 만드는 데 모자랐다”며 열심히 했지만 결과가 미흡했다는 식으로 말했다. 총선 참패에 대한 사과나 유감 표명은 없었고, 192석을 차지한 야당을 향한 대화나 회담 제안 등이 없어 야당으로부터 대통령은 하나도 변한 게 없고 불통대통령이라는 이미지만 강화시켰다는 지적을 받았다. 이번 여당의 총선 참패는 한마디로 소통부재(疏通不在)와 용장 지장 스타일의 통치방식에서 비롯된 참사라고 평가할 수 있다. 돌이켜보면 윤석열정부는 출범 2개월만인 2022년 7월부터 각종 여론조사기관 조사결과 윤대통령 국정운영에 대한 긍정평가가 40%이하였다. 대통령의 국정운영 긍정적 평가가 40%이하로 떨어진 시점은 이명박 전 대통령이 약 3개월, 박근혜 전 대통령이 1년 10개월, 문재인 전 대통령이 2년 5개월이었던데 비해 윤대통령은 2개월로 가장 짧았다. 윤정부 출범하자마자 특별히 이슈가 될 만한 대형사건들이 없는데도 역대 가장 빠른 민심 이탈의 이유는 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