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견고한 지지기반 구축돼 있다

2023.08.07 10:47:13

尹 대통령 지지율 35% 유지하면 여당 총선전략에 청신호
내년 총선 대통령 찬반보다 정당 간 경쟁으로 승부 날 가능성
민주당 위기 징후, 지지율 ↓·무당층 ↑… 호남도 지지층 이완
김은경, ‘노인 폄하 발언’ 논란 민주당에 역풍 불러올 수 있어

 

 

[시사뉴스 김철우 기자] 요즘 국민의힘 관계자들의 표정이 나쁘지 않다. 당 지지율이 30% 중반에서 40% 초반대로 견고하게 유지되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 민주당은 당 지지율 하락세가 뚜렷하다. 일부 조사에서는 20%대 초반까지 내려앉았다. 이 추세가 총선까지 이어진다면 국회 제1당 자리는 국민의힘이 차지할 가능성이 커졌다. 국민의힘은 집권여당의 프리미엄을 충분히 활용하며 정국을 주도하고 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악재가 거듭되고 있다. 전당대회 돈 봉투 의혹, 이재명 사법 리스크에 최근에는 김은경 혁신위원장의 ‘노인 비하성 발언’ 논란으로 악재가 이어지고 있다.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서울-양평 고속도로 김건희 여사 일가 특혜 의혹 등을 고리로 공세를 펴고 있지만 효과를 못보고 있다.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한국갤럽이 지난 7월 25~27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국민의힘은 35%, 민주당 29%, 정의당 4%, 무당층 31%로 나타났다. 직전 조사와 비교하면 국민의힘과 정의당은 각각 2%포인트, 1%포인트 상승했다. 민주당과 무당층은 1%포인트 하락했다.(무선전화 RDD 표본 프레임에서 무작위 추출 전화 조사원 인터뷰 방식. 응답률은 14.1%,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포인트.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특히 민주당 지지율은 지난 3월 첫째 주와 같은 수치인 29%로 올해 최저치를 기록했다. 윤석열 대통령 취임 이후 민주당 지지율 최저치는 지난해 6월 셋째 주와 다섯째 주에 기록한 28%이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 4개 여론 조사기관이 7월31일~8월2일 전국 거주 만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결과에 따르면 국민의힘 32%, 더불어민주당 23%, 정의당 5%, 태도유보 38% 등이었다. 2주 전 조사와 비교하면 국민의힘 지지율은 2%포인트 상승하고 민주당은 그대로다. 양당 지지율 격차는 9%포인트 오차범위 밖이다. 지난주 7%포인트보다 더 벌어졌다.(휴대전화가상번호(100%)를 이용한 전화면접조사방식. 응답률은 18.1%이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두 조사에서 눈여겨 볼 대목은 윤 대통령에 대한 30%대 초반의 강력한 지지기반이 다시 확인됐다는 점이다. 30%대 중후반 구간에서 오차범위내 등락을 반복하는 추세다. 민주당이 윤 대통령을 정치 초년생이라고 얕잡아 보는 경향이 있지만 지지율 추세를 보면 견고하다. 민주당이 35%안팎의 국정지지율에 매몰되면 내년 총선에서 참패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엄경영 시대정신연구소 소장은 윤 대통령을 싱가포르의 리콴유 총리에 비유했다. 리콴유 총리는 법치를 항상 강조했다. 윤 대통령의 트레이드마크도 헌법 정신, 헌법 가치다. 또 리콴유 총리는 법치 위해서 과감한 인센티브와 부정부패에 대한 원스트라이크 아웃제를 일관하게 추진했다. 윤 대통령도 마찬가지다. 얼마전 우주청 만들어지면 사무관 월급을 대통령 월급보다 많게 할 수 있다며 과감한 인센티브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부정부패에 대해서도 단호한 태도를 취하고 있다. 이런 점이 정치 포퓰리스트 이미지가 형성된 이재명 대표와 대비되면서 견조한 지지율을 유지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차기 총선이 8개월여 남은 시점에서 이런 추세가 총선까지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만약 유지된다면 집권여당인 국민의힘의 총선전략에 청신호가 켜지는 셈이다. 일반적으로 대통령 임기 중반에 치러지는 선거는 대통령에 대한 찬반 투표 성격을 가지기 때문이다. 여기에 2030세대 특히 남성이 윤 대통령에 대해 다소 부정적인이지만 당(국민의힘)은 상당한 격차로 민주당을 따돌리고 있다. 결국 내년 총선은 윤 대통령에 대한 지지율과 별개로 정당 간의 경쟁으로 승부가 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가능하다.  


반면, 민주당은 당지지율이 30%대 아래로 내려간 조사결과가 나오면서 빨간불이 켜졌다. 민주당에 30%는 콘크리트 지지율로 여겨졌다. 호남지역 유권자 9.8% 정도에 수도권에 거주하는 호남 원적자 20% 합해서 30%다. 그런데 당 지지율 30%가 붕괴됐다는 것은 콘크리트 지지층이 빠지고 있다는 신호다. 원인은 민주당이 1980~1990년대에 만들어진 과거의 진보 가치에 너무 집착하고 있다는 분석이 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이 역사상 최초로 평화적 교체를 통해 집권한 게 1997년이다. 26년 전에 만들어진 민주당의 지향 가치가 지금도 민주당을 지배하고 있는 셈이다. 반면, 보수 가치들은 새롭게 해석되고 확장되고 있다. 민주당은 갈라파고스 정당이 되었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엄경영 시대정신연구소 소장은 “민주당이 시대의 흐름에 편승을 하든지 아니면 뭔가 다른 근본적인 대책을 내놔야지 안 그러면 지지율이 올라가기 쉽지 않다”고 보았다. 

 

 

민주당이 위기라는 점은 광주·전라에서 무당층이 늘고 있다는 데서도 찾을 수 있다. 앞서의 한국갤럽 조사에서도 광주·전라 지역의 무당층 응답율이 전국 평균보다 높게 집계됐다. 특히 2030세대의 이완이 지속되고 있는 점이 민주당으로서는 뼈아프다. 많은 호남의 2030세대가 민주당 지지에서 이탈해 무당층으로 빠져나가는 추세다. 지난 대선부터 이런 흐름이 뚜렷해지고 있다. 지난해 지방선거 광주광역시 2030대 투표율이 20%대 중후반에 머물렀다. 나머지는 무당층으로 봐야한다고 여론조사 전문가들은 말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도 위기의 징후는 있다. 대선 당시 이재명 대표는 광주·전라에서 득표율 85%를 넘기지 못했다. 과거 노무현 전 대통령이나 김대중 전 대통령은 95% 수준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그만큼 호남에서 민주당의 지지층이 이완되고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광주·전라 지역에서의 무당층의 지속적인 증가와 대선에서의 득표율 하락 추세 이것이 민주당 위기의 현주소를 말해주고 있다. 


여기에 김은경 혁신위원장의 ‘노인 비하성 발언’ 논란은 총선을 앞두고 민주당의 이미지를 부정적으로 고착화 시키는 기제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민주당에서 선거 때만 되면 소환되는 게 노인 폄하 논란이다. ‘노인은 투표하지 말고 젊은 사람 중심으로 투표하자’는 정서는 민주당 강성 지지층에서 자주 읽히는 코드다. 과거 정동영 전 장관의 전력도 있다. 탄핵 전후 형성된 60대 이상 세대 포위 전략이다. 하지만 그게 성공하기 쉽지 않다는 게 전문가들의 판단이다. 과거와 유권자 지형이 달라졌기 때문이다. 4050은 민주당의 강력한 지지 기반으로 아직도 남아 있지만 2030은 남성들이 민주당에 등을 돌리면서 보수 쪽 국민의힘 지지로 많이 돌아섰다. 오히려 지난해 대선 이후 국민의힘은 민주당을 겨냥해 역 포위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그런 면에서 김은경 혁신위원장식의 이번 발언 논란은 역풍을 불러올 가능성이 크다는 게 여의도 정치권의 시각이다. 엄경영 시대정신연구소장은 이와 관련해 “60대 이상 유권자 비중이 지난 지방선거 때 30% 돌파했고 또 투표율이 높기 때문에, 투표자 비중으로 보면 40% 넘어섰다”며 “민주당이 총선에서 승리하려면 60대 이상에서 최소 40% 이상을 확보를 해야 된다”고 전망했다. 

 

 

김철우 talljoon@naver.com
Copyright @2024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
시사뉴스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서울] (05510)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35가길11 (신천동) 한신빌딩 10층 TEL : (02)412-3228~9 | FAX : (02) 412-1425
창간발행인 겸 편집인 회장 강신한 | 대표 박성태 | 개인정보책임자 이경숙 | 청소년보호책임자 박정민 l 등록번호 : 서울 아,00280 | 등록일 : 2006-11-3 | 발행일 : 2006-11-3
Copyright ⓒ 1989 - 2024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 Contact webmaster@sisa-news.com for more information
시사뉴스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