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19일(현지 시간) 뉴욕증시 3대 지수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추가 관세 위협과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신중론을 떨치고 일제히 강보합 마감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 지수는 전장 대비 71.25포인트(0.16%) 오른 4만4627.59에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14.57포인트(0.24%) 뛴 6144.15에 거래를 마쳐, 2거래일 연속 역대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14.99포인트(0.07%) 상승한 2만56.25에 폐장했다.
CNBC 등에 따르면 마이크로소프트는 처음으로 자체 개발한 양자 컴퓨팅 칩 '마요라나 1'을 공개한 뒤 1.2% 올랐다.
테슬라는 1.8% 상승했다.
아날로그디바이시스는 예상치를 넘어선 분기 실적을 발표한 뒤 주가가 10% 가까이 급등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수입차와 반도체, 의약품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생각을 내비쳤다. 트럼프 대통령은 잠재적인 관세 부과 대상이 특정 품목인지, 아니면 광범위한 품목인지 구체적으로 밝히진 않았지만 빠르면 4월2일부터 시행될 수 있다고 말했다.
엘리오스 파이낸셜 그룹 설립자이자 최고투자책임자인 짐 엘리오스는 "단기적으로 DOGE(정부효율부)와 일론 머스크, 관세와 관련한 많은 잡음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시장을 압박하고 고통을 주는 것은 헤드라인의 트럼프 효과다. 장기적으로 볼 땐 여전히 친기업적인 환경이 될 수 있다고 낙관한다"고 분석했다.
투자자들은 또 이날 공개된 연준의 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도 주시했다.
연준 위원들은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에 따른 인플레이션 우려했으며 금리를 더 인하하기 전 인플레이션이 더 낮아져야 한다는 데에 동의했다.
앞서 연준은 지난달 28~29일 열린 1월 FOMC에서 기준금리를 4.25~4.5%로 동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