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극자본주의를 테러하다

2016.09.05 15:16:52

월스트리트 사상 최악의 주가 조작 사건을 폭로하는 라이브 쇼 ‘머니 몬스터’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TV 경제쇼 생방송 스튜디오에 총과 폭탄조끼를 든 괴한이 난입한다. 진행자의 말만 믿고 주식투자로 전 재산을 날린 인질범은 월스트리트 사상 최악의 주가 폭락 사건의 진실을 요구한다. 조디 포스터 연출작으로 조지 클루니와 줄리아 로버츠가 주연을 맡았다.


미디어의 이중성


금융 시장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경제 프로그램 ‘머니 몬스터’의 생방송 스튜디오에 두 개의 상자를 손에 든 낯선 청년이 들어온다. ‘택배 기사인가?’ 제작진은 사소한 방송 사고로 생각하지만 청년은 총으로 스타 진행자 리 게이츠를 위협하고 생방송의 중단도 막는다. 인질범은 주식 투자로 전 재산을 날린 카일 버드웰로 그가 들고 온 두 개의 상자에는 폭탄이 장착된 조끼가 들어 있다. 카일은 리 게이츠에게 폭탄 조끼를 입게 한 후, “IBIS 주식이 예금보다 안전하다”며 ‘사라’고 종용한 책임을 따진다. 나머지 하나의 조끼는 하룻밤에 8억 달러를 날린 주가 폭락의 직접적 책임자 IBIS의 CEO 월트 캠비에게 입히기 위해 준비된 것이다. 이 모든 상황은 라이브로 미국 전역에 중계된다.


국내 관객에게 이 영화는 필연적으로 하정우 주연의 ‘더 테러 라이브’를 떠올리게 한다. 테러리스트가 TV 프로그램 진행자의 몸에 폭발물을 부착해 위협하고 자신의 억울함과 사회적 부조리를 생방송으로 알리려 한다는 설정이 유사하기 때문이다. 소재의 특성상 당연히 언론의 무책임을 이야기한다는 점도 겹친다.

경제쇼의 진행자 리 게이츠는 IBIS의 주식이 예금보다 안전하다는 자신의 멘트를 기억조차 하지 못한다. 그저 그에게는 모든 것이 ‘농담’일 뿐이다. 누군가에게는 전 재산이 걸려있지만, 리 게이츠의 프로그램은 그저 ‘쇼’에 불과하다. 아이러니하게도 제작진의 목숨이 위태로운 상황이 되자, 이들은 살기 위해 미디어가 해야 할 일을 하기 시작한다. 진실을 파헤치는 것이다.


미국의 허구와 비극


인질범 카일 버드웰은 금융시장에서 파멸을 경험하는 개미투자자의 비극을 대변한다. 자본주의의 밑바닥에서 희망 없는 삶을 사는 그에게 주식시장과 미디어의 유혹은 희망 같아 보이지만 사실은 언제나 그렇듯, ‘지는 게임’으로 설계돼 있다.


흥미로운 점은 주식시장에 들어온 모두가 이 부조리에 은근히 동참하면서 승자가 됐을 때는 패자에게 무관심하다는 것이다. 욕망에 사로잡힌 모두가 ‘머니 몬스터’라고 영화는 말한다. 개인 투자자를 비롯해 대중들의 무신경에 대해서도 비판적이다. 대중은 한 개인의 비극과 금융시스템의 부조리를 라이브로 보면서도 나와 무관한 타인의 일이자 하나의 쇼 정도로만 인식할 뿐이다.


이처럼 영화는 테러 라이브 쇼가 된 ‘머니 몬스터’의 스튜디오를 통해 금융시장의 부조리와 언론의 이중성, 그리고 대중의 무관심을 꼬집으며 자본주의와 미국의 허구와 비극을 말한다. ‘더 테러 라이브’가 사회적 부조리에 대한 스트레스와 분노라는 대중 정서를 스릴러 장르의 그릇 안에서 잘 담아내고 폭발시킨 영화라면, ‘머니 몬스터’는 금융위기 이후 실체가 더욱 또렷해진 미국 자본주의 시스템의 부조리를 보여주는데 집중한다.


결정적인 차이점은 ‘머니 몬스터’는 ‘더 테러 라이브’와 달리 스릴러적인 쾌감을 본격적으로 추구하는 영화는 아니라는 것이다. 달리 말하자면 ‘머니 몬스터’가 영화적 긴장감이 떨어진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 영화의 주제가 묵직하기는 하나 스릴러적 즐거움을 대신할 만큼 특별히 신선한 것도, 예리한 것도 아닌 것이 아쉬운 점이다.


‘머니 몬스터’의 세계는 자본주의를 살아가는 모두의 현실임에도 불구하고, 아이러니하게도 영화는 관객의 감정적 개입을 차단한다. 카일은 동정의 대상이기는 하지만 묘하게 타자화 된다. ‘더 테러 라이브’의 주인공과는 달리 조지 클루니와 줄리아 로버츠가 연기하는 미디어의 제작진들이 카일을 대하는 자세는 책임과 반성보다 동정에 기운다.


또 하나 한국 관객에게 몰입을 방해하는 요소는 한국인 단역들이다. 한국인 단역들은 하나같이 알아듣기 힘든 어설픈 한국어를 구사한다. 영화적 완성도에서 핵심적 요소는 아니지만, 한국을 포함해 전 세계를 비즈니스 영역으로 인식하는 헐리우드 시스템에서 아시아인에 대한 묘사가 여전히 심각하게 비현실적이라는 점은 단지 연출의 디테일 면만 고려해도 납득하기 어렵다. 하층민이자 개미투자자인 카일을 바라보는 시선이 그렇듯, 영화는 한국인을 철저히 타자화 시킨다. 관객이 깊이 공감하기에는 장애 요소가 많은 셈이다.

정춘옥 ok337@sisa-news.com
Copyright @2024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
시사뉴스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서울] (05510)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35가길11 (신천동) 한신빌딩 10층 TEL : (02)412-3228~9 | FAX : (02) 412-1425
창간발행인 겸 편집인 회장 강신한 | 대표 박성태 | 개인정보책임자 이경숙 | 청소년보호책임자 박정민 l 등록번호 : 서울 아,00280 | 등록일 : 2006-11-3 | 발행일 : 2006-11-3
Copyright ⓒ 1989 - 2024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 Contact webmaster@sisa-news.com for more information
시사뉴스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