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이 예술이다

2018.06.21 09:27:54

누벨바그의 거장과 젊은 아티스트의 감동 프로젝트 <바르다가 사랑한 얼굴들>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영화 감독이자 사진 작가인 아녜스 바르다와 제이알이 자신들의 작품 활동 과정을 카메라에 담은 다큐멘터리다. 포토 부스를 장착한 트럭을 타고 프랑스 시골을 여행하며 만난 사람들의 사진을 확대해 건물 벽면이나 구조물에 붙이는 작업을 통해 기억과 관계, 인생에 대해 이야기 한다.

소시민이 거인이 되는 전복적 쾌감

88세 바르다와 33세 제이알은 많은 나이 차이에도 불구하고 서로의 지향점이 비슷하다고 생각해 공동작업을 시도한다. 이 다큐는 이들의 프로젝트를 단순히 기록하는 것을 넘어서, 참여자의 감정, 두 작가의 예술관과 교감, 나아가 심층적 메시지까지 전달한다.

사진과 동영상이라는 매체는 내면의 막연한 기억, 감성, 가치관, 상상 등을 타인과 구체적으로 공유하게 한다. 또한, 세계나 사람을 선택적으로 촬영하고 관람하는 행위는 일상을 특별하게 만든다. 존재하지만 몰랐던, 또는 무관심했던 상황과 인물에 대해 생각할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두 작가는 사진과 동영상의 이 같은 속성에 천착한다.

익숙한 이웃의 얼굴, 또는 개인사가 담긴 사진이 건물 벽면에 커다랗게 확대해 붙여지고, 도시가 갤러리가 되는 순간들은 의외의 감동을 준다. 이 집, 이 마을에 사는 사람들의 얼굴과 내밀한 사연이 공공성을 갖는 드라마틱한 경험이다. 사람은 곧 장소가 되고, 개인의 마음 속에 있던 그리움이나 생각의 공유로 인한 묘한 연대감도 생긴다.

무엇보다도 압도적 크기의 인물 사진은 뉴스나 역사가 주목하지 않았던 소시민들이 ‘거인’이 되는 전복적 쾌감을 선사한다. 평범한 사람들의 일상이 곧 예술이라는 자세로, 바르다와 제이알은 노동자와 농부, 항만노동자의 아내 등 ‘주변부적 존재’들을 찾아간다. 벽면을 장식한 카페 직원의 사진은 그 자체도 예술이지만, 그 사진으로 지역의 유명인사가 된 사진 속 인물의 경험담 또한 작품이 된다. 항만노동자의 아내들은 해상 컨테이너 수십대를 쌓아 만든 자신의 거대 사진 구조물 상단에 올라간 기분에 대해 “해방감을 느낀다” “군림하는 기분이다” “무섭고 불편하다”고 말한다. 물리적 위치의 상승이 사회적 지위 상승의 은유가 되는 절묘한 대목이다.

소멸하는 것들에 대하여

사진을 찍는 행위는 소멸이라는 자연적 현상을 거스르고자하는 인간의 욕망을 표현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이 다큐 속에 등장하는 사람들도 몇 장의 빛바랜 사진으로 사라진 마을과 죽은 부모나 조부모에 대한 기억을 환기한다. 철거예정 탄광지역을 장식한 과거의 광부들 사진과 철거 요구에 대항해 집을 지키는 주민의 사진 작업은 그들과 그 공간에 대한 기억의 의지이자 존경의 표시다. 폐허가 된 마을을 사진으로 생기가 돌게 만드는 장면도 사진이 가진 기억의 소환이라는 일면을 보여준다.

이 영화에 노인이 유독 많이 등장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시력이 떨어져 주기적으로 치료받고 있는 노예술가 바르다 또한 ‘소멸 직전’이라는 존재성을 보여준다. 생토뱅 쉬르 메르 해안의 벙커에 설치한 바르다의 추억이 담긴 사진 작품이 하룻밤 사이 밀물에 휩쓸려 없어지는 장면은 아무리 노력해도 사라질 수밖에 없는 기억과 존재에 대한 자연의 섭리와 닮았다.

하지만, 영화는 사라지는 것에 대해 애틋함은 가지되 슬퍼하지 않는다. 이것은 ‘자연’과 ‘순리’에 대한 깊은 애정에서 비롯된다. ‘뿔이 있는 염소’ 사진 작업은 이 같은 지향점을 직설적으로 보여준다. 이윤의 극대화를 위해 염소뿔을 잘라버리는 현대 농가의 풍경 이후에는 그 반대편의 인물에 포커스를 맞춘다. ‘원래 있는 것은 두어야 한다’며 전통적 방식으로 염소를 키우는 낙농업자의 모습은 “죽음이 자연적인 것이기 때문에 두렵지 않다”는 바르다와 비슷한 지점에 놓여져 있다. 바르다는 자신의 작품이 허무하게 바닷물에 씻겨 없어진 것에 대해서도 낙담하지 않는다. 그 과정 또한 인생과 자연의 섭리를 말한다는 점에서, 의도하지 않았던 철학적 서사다.

예술적 동지의 아름다운 우정

타인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고 얼굴을 자세히 들여다보는 행위가 이토록 예술적 경험인지를 이 다큐는 새삼 깨닫게 한다. 도입부에서 제이알과 바르다는 같은 장소 같은 시간 수차례 함께 있었지만 서로의 존재를 몰랐음을 재치있는 표현으로 보여준다. 장소와 사람, 만남이라는 이 영화가 하고자 하는 이야기의 운을 뗀 것이다. 사람과 사람의 만남은 존재의 인식이며, 그것은 예술 작품을 감상하는 것과 같다.

누벨 바그의 거장인 바르다는 동료 예술가 장 뤽 고다르를 만나러 간다. 고다르는 그녀의 삶과 예술에서 빼놓을 수 없는 친구다. 처음부터 바르다에게 고다르를 연상시킨 제이알 또한, 그녀의 동료이자 친구가 된다. 바르다와 고다르의 가운데에 위치한 제이알은 ‘관계’에 대한 이 영화의 메시지를 강렬하게 표현한다.

제이알이 선글라스를 벗지않는다고 반복적으로 불만을 표현했던 바르다는 제이알의 할머니를 만나는 등 사적 영역에 점차 깊이 들어간다. 선글라스를 ‘둘 사이의 장막’으로 인식한 바르다는 상대에게 더욱 가까워지고 싶은 마음을 표현한다.

제이알은 바르다의 작품 사진을 해변에 붙인데 이어 그녀의 눈과 발을 찍어 화물 기차에 붙인다. 그녀, 또는 그녀의 시각이 소멸하더라도 영혼은 자유롭게 세상을 누비기를 바라는 제이알의 우정어린 선물이다. 기차에 붙은 그 거대한 사진을 바라보는 사람들은 바르다의 눈과 발이 부지런히 세상과 사람들을 향하고 있음을 잊지 않을 것이다.

결말에 상심한 바르다를 위로하는 제이알의 행동은 이 영화의 주제이기도 한, ‘사람’이 주는 교감과 애정의 감동을 뭉클하게 표현한다. 소멸할지라도 우리는 기억한다. 그리고 그 기억은 곧 사랑이다. 다큐멘터리의 미덕이기도 하지만, <바르다가 사랑한 얼굴들>은 날 것 그대로의 표정과 사연이 가진 힘이 크다. 어떤 예술보다도 사람이 아름답다는 두 작가의 순수하고 따뜻한 예술관이 단절의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을 위로한다.
정춘옥 ok337@sisa-news.com
Copyright @2024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
시사뉴스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서울] (05510)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35가길11 (신천동) 한신빌딩 10층 TEL : (02)412-3228~9 | FAX : (02) 412-1425
창간발행인 겸 편집인 회장 강신한 | 대표 박성태 | 개인정보책임자 이경숙 | 청소년보호책임자 박정민 l 등록번호 : 서울 아,00280 | 등록일 : 2006-11-3 | 발행일 : 2006-11-3
Copyright ⓒ 1989 - 2024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 Contact webmaster@sisa-news.com for more information
시사뉴스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