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9·19 남북 군사합의 파기" 주장…대선국면에 파기론 대두

2021.11.17 13:12:51

 

윤석열 "북한 변화 없으면 파기하겠다"
남북 군사합의, 2018년 9월19일 체결
남북 간 우발적 충돌 방지하는 내용
북한 김여정도 군사합의 파기 언급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당선되면 9·19 남북 군사합의를 파기할 수 있다고 밝혀 파장이 일고 있다. 2018년 9월 남북이 도출한 군사합의가 대선 국면에서 3년 만에 파기론이 대두됐다.

윤 후보는 지난 16일 국민일보와 인터뷰에서 "북한은 미사일 시험 발사도 하면서 (9·19 합의를) 어기고 있다"며 "집권하면 북한에 9·19 합의 이행을 촉구하고, 그래도 변화가 없을 경우 파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윤 후보가 파기 가능성을 언급한 9·19 군사합의는 판문점 선언의 부속합의서다. 9·19 군사합의의 정식 명칭은 '역사적인 판문점 선언 이행을 위한 군사분야 합의서'다.

이 합의는 2018년 9월19일 평양에서 체결됐다. 당일 평양 백화원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 겸 국무위원장이 지켜보는 가운데 6개조 22개항으로 구성된 9·19 군사합의서에 송영무 당시 국방장관과 노광철 북한 인민무력상이 서명했다.

9·19 군사합의 핵심은 남북 접경지역에서 우발적 충돌을 방지하는 것이다.

합의서에는 상대방에 대한 일체의 적대행위 전면 중지, 비무장지대 안 감시초소(GP) 철수,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비무장화, 시범적 공동 유해 발굴, 서해 북방한계선 일대 평화수역화, 한강하구 공동이용 등 조치들이 담겼다.

합의에 따라 남북 군 당국은 2018년 11월1일부터 지상, 해상, 공중에서 상대방에 대한 적대행위를 중지했다.

남북은 지상 완충구역(군사분계선 기준 각 5㎞) 내에서 포병사격·연대급 이상 야외기동훈련을 실시하지 않았다. 해상 완충구역(서해: 초도~덕적도, 동해: 통천~속초) 내 함포·해안포의 포구·포신 덮개 설치, 포문 폐쇄가 유지되고 있다. 함포·해안포 실사격·해상기동훈련도 중지됐다.

또 군사분계선 상공에 설정된 각 기종별 비행금지구역에서 상호 통보되지 않은 비행이 금지되고 있다. 정찰·감시활동을 위한 무인기도 운용되지 않는다.

2018년 10월27일에는 판문점 공동경비구역에서 지뢰 제거와 초소·화기 철수, 인원 조정, 남북공동 검증이 완료됐다.

남북 군 당국은 상호 시범 철수하기로 한 비무장지대 안 11개 감시초소에서 각각 화기·장비·인원을 철수시켰다. 11월30일에는 시설물을 보존하기로 한 1개를 제외한 10개 감시초소가 철거됐다. 12월12일에는 분단 이래 처음으로 남북 군인들이 군사분계선을 종단하면서 11개 감시초소를 상호 현장 검증했다.

비무장지대 내 철원 지역 화살머리 고지에서는 공동 유해 발굴을 위해 지뢰 제거와 도로 개설이 이뤄졌다. 한강 하구에서는 민간 선박의 자유로운 항행을 보장하기 위해 11월5일부터 12월9일까지 공동수로 조사가 실시됐다.

북한의 비협조적인 태도 탓에 9·19 군사합의 의미와 실효성이 일부 퇴색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잘 이행되는 듯하던 9·19 군사합의는 2019년 하노이 노딜이라는 암초를 만났다. 2019년 2월말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에서 비핵화 협상이 결렬되자 북한은 태도를 바꿨다. 남북공동 유해발굴, 공동경비구역 공동근무와 자유왕래, 한강하구 민간선박 자유항행, 비무장지대 내 모든 감시초소 철수 등이 현재까지 이행되지 않고 있다.

게다가 북한은 9·19 군사합의 핵심인 접경지역에서 합의 위반 행위를 했다. 북한은 2019년 11월 서해 창린도 사격 훈련, 지난해 5월 중부전선 감시초소 총격 사건 등을 통해 9·19 군사합의를 위반했다. 이후 북한은 이에 대해 해명하거나 사과하지 않았다.

북한이 합의 위반 행위를 했지만 이를 제재할 수단은 없다. 9·19 군사합의는 일종의 남북 간 신사협정이다. 국제법적 효력을 지닌 조약이 아니므로 강제할 장치가 없다.

북한은 계기마다 9·19 군사합의 파기 가능성을 언급해왔다.

북한 대외 정책을 총괄하는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은 지난해 6월4월 대북전단 살포 중단을 요구하는 첫 담화에서 "군사합의 파기를 각오해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김 부부장은 올해 3월에는 "우리는 앞으로 남조선 당국의 태도와 행동을 주시할 것이며 감히 더더욱 도발적으로 나온다면 북남 군사분야 합의서도 시원스럽게 파기해버리는 특단의 대책까지 예견하고 있다"고 밝혔다.

홍경의 tkhong1@hanmail.net
Copyright @2024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
시사뉴스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서울] (05510)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35가길11 (신천동) 한신빌딩 10층 TEL : (02)412-3228~9 | FAX : (02) 412-1425
창간발행인 겸 편집인 회장 강신한 | 대표 박성태 | 개인정보책임자 이경숙 | 청소년보호책임자 박정민 l 등록번호 : 서울 아,00280 | 등록일 : 2006-11-3 | 발행일 : 2006-11-3
Copyright ⓒ 1989 - 2024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 Contact webmaster@sisa-news.com for more information
시사뉴스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