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재테크는 마라톤처럼

2007.05.07 09:05:05

요즘 사람들의 최대 관심사 중 하나는 ‘어떻게 하면 부자가 될 수 있을까’일 것이다. 어딜 가든 재테크 관련 정보는 넘쳐나고 사람들은 점성술사에게 미래를 맡기듯 전문가에게 그 방법을 묻곤 한다. 당신도 부자(泓)대열에 서고 싶은가? 그렇다면 이 코너를 눈여겨 볼 지어다. 전문가들의 돈 불리는 법과 재테크에서 절대 놓치지 말아야 할 키포인트가 있다.
지난 호에는 10년 안에 10억 만드는 비결을 노용환 재테크연구소장을 통해 들어보았다. 하지만 이번 호에선 앞선 주장과 다소 상반된 의견들이 재미를 더한다. <대한민국 30대, 재테크로 말하라>의 저자이기도 한 최성우 재무설계사(포도에셋 재테크팀장)는 돈은 어떻게 불리느냐보다, 얼마나 저축을 하느냐가 더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재테크에 Best란 없다!
재무설계사이기 전에 그 역시 올해 나이 33세로 대한민국 30대를 살아가는 평범한 샐러리맨의 현실과 고충을 이해하며 공감대를 형성한다. 이것이 야후의 ‘샐러리맨 부자되기’ 코너에 연재한 재테크 칼럼이 수만 건의 조회기록을 달성할 만큼의 인기를 끌었던 비결이기도 하다. 그는 30대 재테크는 4,50대와는 분명 차원이 달라야 한다고 강조한다.
요즘 부를 축적한 대부분의 4,50대는 부동산 덕을 톡톡히 본 세대다. 하지만 최근의 부동산값 하락기조와 더불어 앞으로는 부동산으로 이 같은 재미를 보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대세를 이룬다. 따라서 30대는 ‘돈을 벌기 위한’ 재테크가 아니라 ‘돈을 모으기 위한’ 재테크를 해야 하며, 재테크란 부자가 되기 위한 것이 아니라 가난해지지 않기 위한 것이라고 정의를 내린다. 그런 의미에서 ‘재테크’보다는 ‘재무설계’의 필요성이 절실하다고 시종 주장한다. 큰 그림에서 보면 인생은 ‘내집마련 자녀교육 노후’라는 3단계를 거친다.
그런데 이런 단계와 상관없이 재테크에 힘쓴다면 현재만 있고 미래는 존재하지 않는다. 대한민국 30대의 모습은 내집마련과 사교육에 대부분의 돈을 투자한다. 평균 수명이 90세로 늘어나고 은퇴시기는 빨라지는데 노후준비는 소홀한 것이 현실이다. 준비되지 않은 노후는 ‘재앙’과 같다. 최 팀장은 ‘어떻게든 잘 되겠지’라는 막연한 기대가 가난의 지름길로 빠져드는 현대인의 안일한 사고방식이라고 경고한다.
최 팀장은 흑자인생을 위한 재무설계를 마라톤에 비유했다. “마라톤은 단거리 선수가 갑자기 한다고 되는 것이 아니잖아요. 자신의 체력을 점검한 후 구간별로 전략을 세워야 마라톤에서 승리할 수 있듯, 재무설계도 자신의 상태를 점검하고 그에 맞게 달라져야 합니다.” 때문에 재테크에서 베스트(best)란 없다.

대출 있어도 저축 병행이 유리
내집마련, 자녀, 노후라는 이벤트가 찾아올 때마다 저축액을 나눠 동시에 시작한 가로저축은 30년이라는 복리의 마법을 발휘한다. 하지만 저축해서 집사고 다시 저축해서 아이들 교육시키고 다시 저축해서 노후를 준비하는 세로저축은 가난의 굴레를 벗어나기 힘들다.
목돈을 만드는 방법은 저축액 자체가 크거나, 시간의 힘을 빌리거나 둘 중의 하나다. 1가구당 평균 3천만원의 대출이 있는 현실을 감안하면 저축할 돈이 없다고 고개를 흔드는 사람들이 있을지 모른다. 하지만 최 팀장은 카드나 사금융 등의 고금리만 아니라면 “대출상환과 저축을 병행하라”고 명쾌한 답을 내린다.
예를 들어보자. 1억 600만원의 대출을 6.5% 금리로 받았고 207만원의 저축여력이 있는 A와 B가 있다. 이때 A는 50만원짜리 연금성 상품(5% 연복리)에 가입하고 월 157만원의 대출금을 갚았다. 반면 B는 207만원 모두를 대출상환에 올인했다. 결과는? A가 대출이자는 더 내게 돼 손해를 본 것 같지만 연금상품에 따른 복리의 마술로 B보다 1억 2천만원의 이익을 봤다. 이것이 곧 ‘시간의 힘’이다.
그러기 위해선 먼저 ‘강제저축’이 필요하다. 안일한 계획보다 확고한 ‘목표’가 뒷받침 돼야 한다. 돈이 인생을 흔들게 되지만 목표가 있으면 삶이 돈을 지배할 수 있다는 것이 그의 지론. 다음의 예를 보면 그 차이를 확연히 알 수 있다.
입사동기인 A와 B의 월급은 200만원이다. A는 그 중 100만원을 펀드에 넣어 1년간 -10% 수익률로 손해를 봤고 B는 50만원만 펀드에 넣었지만 무려 50%의 수익률을 달성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B는 75만원을, A는 90만원을 손에 쥐었다. 수익률이 아무리 높아도 저축액이 많은 사람을 당해내진 못한다는 계산이다. 최 팀장은 “수익률은 단지 숫자에 불과하다”면서 “어떻게든 강제저축을 하라”고 권한다.

부동산 투자에 올인하지 말라
최 팀장이 제안하는 재테크 방법은 간단하다. 바로 △수입을 늘리거나 △지출을 줄이거나 △있는 돈을 효율적으로 굴리거나 △목표를 수정하는 것이다. 저축액을 늘리는 방법은 가계부+CMA+체크카드 사용이다. 월 10만원의 저축액이 늘리는 효과는 최소 30년 후 7천만 원(연 4% 금리)을 얻을 수 있고 투자를 한다면 2억 원(10% 수익률)이 가능하다.
새는 돈을 막기 위해 가계부 작성은 필수. 통장 쪼개기로 급여는 고정적인 월 지출액 외에 모두 CMA로 이체한다. 선 저축, 후 소비습관을 들이는 것이다. 투자는 그 다음이다. 투자의 기본은 ‘이익을 많이 얻는 것보다 잃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부동산과 금융자산의 비율은 통상 5대 5의 비율이 적합하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부동산과 금융이 8대 2에 달해 비정상적으로 운용되고 있다. 최 팀장은 “부동산 투자에 올인하지 말 것”을 강조하고 “부동산은 신도시나 재개발 예정지 등 미리 사서 오래 둬야 절세효과와 기대수익을 함께 노릴 수 있다”고 조언한다. 직접투자는 금융자산의 15% 이내에 하는 것이 적당하다. 올해 펀드투자는 해외펀드, 특히 아시아쪽 부동산과 소비재에 투자가 유망하다고 내다봤다.
재테크에 관한 사람들의 오해와 편견에 대한 한마디. 시중에 큰 관심을 받고 있는 ‘몇 년에 얼마를 벌었다’는 식의 얘기는 극히 소수에 불과한 사례로 거의 현실성이 없고 소비자를 현혹시키기만 할 뿐이라고 지적한다. 대부분이 부동산으로 돈을 번 사례들인데 이제 부동산 으로 일확천금을 누리는 시대도 갔고 전문가가 아닌 이상 현업을 포기하며 정보를 얻는 것이 현실과는 거리가 멀다는 설명이다.
홍경희 metell@sisa-news.com
Copyright @2024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
시사뉴스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서울] (05510)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35가길11 (신천동) 한신빌딩 10층 TEL : (02)412-3228~9 | FAX : (02) 412-1425
창간발행인 겸 편집인 회장 강신한 | 대표 박성태 | 개인정보책임자 이경숙 | 청소년보호책임자 박정민 l 등록번호 : 서울 아,00280 | 등록일 : 2006-11-3 | 발행일 : 2006-11-3
Copyright ⓒ 1989 - 2024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 Contact webmaster@sisa-news.com for more information
시사뉴스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