늦봄과 초여름은 무기력증에 빠지기 쉽다. 이때 흔히 나타나는 질환으로 주하병(注夏病)이 있다. 이맘때 흔히들 경험해 보았을 법한 머리가 아프고, 다리에 힘이 없고 밥맛이 없으면서 몸이 후끈거리는 증상이 바로 주하병의 특징이다. 김진돈 한의학 박사(운제당 한의원장, 한국노동교육원 객원교수, 경희대 한의대 외래교수, 대한형상의학회 부회장 겸 교수)를 통해 늦봄과 초여름 사이 찾아오는 무기력증의 원인과 치료법을 들어보았다.
음이 허하고 원기 부족해
주하병의 원인은 음이 허하고 원기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 때는 원기를 돋워 주고 허리아래를 보강하는 보음약을 써야 하는데 한의사의 정확한 진단에 의해 각자의 체질에 따른 올바른 치료를 해줘야 한다.
더운 날씨에는 인체의 양기(원기)가 더위를 이기기 위하여 상부로 뜨거나 피부로 몰려나오기 때문에 다리가 약해지고 뱃속이 허해진다. 이때는 인체의 상부나 피부에서 양기가 더위와 싸우느라고 답답함이나 갈증, 발한 등이 나타나게 된다. 그러면 자연스럽게 냉수나 냉차, 냉장고에 들어 있는 시원한 과일이나 얼음과자 등을 섭취하게 된다.
이때 뱃속은 매우 허해져 있는 상태이므로 이런 생냉지물(生冷之物) 등이 따뜻하게 해서 소화 흡수시켜 줄 능력이 마침내 떨어지게 된다.
결국 양기가 부족한 상태에서 비위가 손상을 입어서 구토나 설사, 복통을 유발하고 심지어는 발열이나 오한까지도 나타난다.
김진돈 박사는 “실제로 환자 중에서 여름만 되면 배가 살살 아프면서 설사를 한다고 호소하는 환자들을 임상에서 많이 접하게 된다”고 말했다.
음혈지부 보강해야
결국 요즘 나른하고 힘이 빠지고 무기력한 증상이 생기게 되는 주원인은 원기가 부족하고 음이 허하기 때문이다. 고로 원기를 돋우면서 음혈지부를 보강해줘야 한다. 특히 더위를 잘못 견디는 사람들이 복용하면 효과가 아주 좋다.
‘활인서’에 의하면 요즘은 사람의 정신이 떨어지는 때이다. 잎이 무성하고 뿌리는 약해지는 시기에 성생활을 과도하게 하면 약한 뿌리가 더욱 약해지므로 건강에 많은 무리가 오고 심지어는 콩팥이 손상된다. 결국 기둥이 약해지니 무기력에 빠질 수 밖에 없다는 의미다.
두 번째로는 습열이 성한 계절이기 때문이다. 결국 습열이 성해서 온다. 이때는 몸이 무겁고 잘 부으며 마목이 오기도하고, 다리에 힘이 없고 머리가 맑지 않기도 한다.
셋째로 간이 허해지는 계절이다. 봄은 간이 임금노릇을 하다 지쳐서 여름에는 허해진다. 하체가 약해지니 무기력증에 빠지기 쉽다. 이때는 간을 보해 주어야 한다.
넷째로는 냉방병에 의해서 온다. 실내에서 찬 공기를 너무 많이 쐬면 피부호흡이 안 되어서 머리가 맑지 않고 무기력증에 빠질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1시간에 에어컨을 끄고 10분 정도는 자연 바람을 쐬어 줘야 한다.
간을 보하는 제철과일 먹어야
이 같은 무기력증을 극복하기 위한 음식으로는 복숭아, 살구, 부추, 자두 등이 있다. 이들 음식은 봄에 열심히 일을 해 지쳐 있는 간을 보해 준다. 현대인은 제철이 아닌 과일들을 많이 먹게 되는데 인체는 자연에 상응하여 살게 되어 있으므로 제철의 과일이 아닌 경우는 바람직하지 못하다. 과일은 언제나 제철에 나는 것을 먹는 것이 좋다. 특히 요즘에 나오는 과일들은 대개 신맛이 많은데 심장기능을 좋게 해 주므로 더위를 이기는데 큰 역할을 한다.
봄에 부드러운 풀을 뜯어먹고 사는 양고기를 여름에 먹으면 심장에 도움이 된다. 보리도 여름에 더위를 이기는 식품이므로 보리밥은 더울 때 좋은 음식이다. 고로 열성체질이라면 보리가 좋다는 의미도 된다.
반대로 너무 찬 음식은 삼가야 한다. 소화기가 약한 소음인 체질이나 특히 몸이 찬 사람은 냉면, 돼지고기, 참외 등의 찬 음식은 주의를 해야 하고 적게 먹도록 해야 한다. 이런 분들은 오히려 이열치열법이 건강에 유익하다고 본다.
오미자 기 보충에 좋아
무기력증을 치료하는 대표적인 민간요법은 오미자를 복용하는 것이다. 오미자는 땀과 설사를 멎게 해주고 당뇨 환자의 갈증 해소에 효과가 있다. 특히 허약해진 기를 보충하고 무기력증에 좋다.
냉장고가 없었던 과거에는 다홍빛을 내는 오미자 국물에 수박이나 배를 띄운 화채가 새콤달콤하여 청량음료로 안성맞춤이었다. 또한 각종 유기산이나 칼슘 비타민 C 등이 풍부해서 피로 회복제로도 유익하다. 그리고 유기산이 많아서 신맛이 강하다. 지나치게 체온이 올라갈 때 표피로 열이 몰리면 중요기관의 에너지가 모자라는데 흩어진 기운을 몸의 중심으로 갈무리해주는 효능이 있다. 폐기능을 도와서 기침이나 목이 쉬는 경우에 좋고 떫은 맛은 기관지를 수축해주기에 만성기관지 확장증에 좋다.
이외에도 뇌파를 자극하는 성분이 있어서 과로로 인한 기억력 감퇴나 수험생이나 야간작업을 많이 하는 직장인에게도 권할만한 차다.
[서울] (05510)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35가길11 (신천동) 한신빌딩 10층 | TEL : (02)412-3228~9 | FAX : (02) 412-1425
창간발행인 겸 편집인 회장 강신한 | 대표 박성태 | 개인정보책임자 이경숙 | 청소년보호책임자 김지원 l 등록번호 : 서울 아,00280 | 등록일 : 2006-11-3 | 발행일 : 2006-11-3
Copyright ⓒ 1989 - 2025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 Contact webmaster@sisa-news.com for more information
시사뉴스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