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최고’ 볼거리 풍성
주행사장은 지난 2003년 ‘대한민국 1호’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돼 첨단 국제도시로 건설 중인 인천 송도국제도시에 24만7000㎡ 규모로 조성됐다. 축전에서는 해외 105개 도시, 국내 32개 도시 등 137개 도시가 참가하는 세계도시관을 비롯해 각종 전시와 이벤트, 콘퍼런스, 공연 등 모두 68개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행사를 주최하는 인천시는 축전이 열리는 80일간 외국인 50만명을 포함해 총 700만명이 인천을 방문하고, 이 중 500만명이 주행사장을 관람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생산유발 1조1500억원, 부가가치유발 5300억원, 소득유발 3000억원 등의 경제적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추산된다.
도시축전은 말 그대로 도시의 모든 것을 보여주는 행사다. 세계 각 도시의 문화와 환경, 도시를 이루는 첨단기술, 도시 안의 사람들과 관련된 모든 것을 전시하고 이벤트와 콘퍼런스를 연다. 주행사장도 ‘재미와 감동이 넘치는 작은 미래도시’를 목표로 기획됐다.
세계도시관에서는 세계 각 도시의 역사와 개발과정을 영상으로 관람할 수 있고, 기업독립관에서는 현대건설, 대우건설, 포스코건설 등 국내 대표 건설사들이 미래의 도시상을 제시한다. 로봇사이언스 미래관에는 첨단 로봇과 기업들의 전시 부스가 마련돼 로봇과 IT 기술의 현재와 미래를 볼 수 있고 녹색성장관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대응 방안 등을 모색하게 된다. 세계 문화의 거리에서는 각 국가의 상징건축물과 조형물, 문화유물, 소품 등을 전시하고 국내외 20여개 도시 공연단이 퍼레이드를 펼치는 시티데이를 운영한다.
도시축전에서는‘최대’, ‘최고’, ‘유일’등의 수식어가 붙는 볼거리들이 유난히 많다. 전 주제영상관에는 가로 22m, 세로 12m 크기로 국내에서 가장 큰 1천인치 스크린이 설치돼 관람객들이 초대형 화면의 선명한 화질을 통해 3D 입체영상을 실감나게 즐길 수 있게 했다.
주행사장 미추홀 분수에서는 국내 최초로 시도되는 홀로스크린 영상과 원형영상 ‘스피어비전’을 활용한 멀티미디어 워터쇼가 축전 기간 매일 송도의 밤 하늘을 수놓게 된다. 계도시관에는 송도국제도시를 축소해 만든 아시아 최대 규모의 레고 디오라마가 전시되고, 세계 최초로 로봇만이 등장하는 드라마 공연도 선보인다.

축전 주행사장 안팎에는 터키의 차나칼레 지역에 재현돼 있는 ‘트로이 목마’와 같은 크기의 목마를 전시하고, 로봇으로 만든 기린, 코뿔소 등으로 구성된 로봇 동물원과 세계 최초로 첨단 미래도시를 체험할 수 있는 ‘투모로우시티’등이 조성됐다.
도시축전 100배 즐기기 ‘따라와~’
송도국제도시에 조성된 축전 주행사장의 면적은 축구장의 33배에 이르는 만큼 관람객의 연령대에 맞는 동선을 미리 짜서 움직이면 좋다. 유치원·초등학생의 경우 미래도시를 압축해 놓은 `하이테크 프라자'를 먼저 구경한 뒤 인간과 첨단기술이 만들어가는 미래도시 이야기를 1000인치 스크린을 통해 즐기는 `주제영상관'으로 이동한다.
이어 로봇들이 춤추고 노래부르며 축구시합을 하는 `로봇사이언스 미래관'을 보고 관람객들을 위한 먹을거리공간에서 휴식을 취한다. 휴식 후에는 20여종의 놀이·테마시설로 꾸며진 `아름별이 놀이파크'를 이용하거나 축전이 열리는 80일간 매일 멋진 공연이 펼쳐지는 `비류공연장'을 둘러본다. 마지막으로 어린이들이 가장 좋아하는 전시관인 `테디베어관'을 관람한다. 이곳에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백설공주 등 동화 속 이야기들을 곰인형 테디베어로 재현했고, 소인국에 떠내려 온 길이 10m의 `걸리버 테디베어'도 만날 수 있다.
중·고교생은 바이오, 태양광, 풍력 등 차세대 에너지와 그린자동차 등 `녹색성장관'을 관람하고, `테디베어관'을 거쳐 세계적인 디지털 아티스트들의 작품을 감상하는 `디지털아트관'으로 이동한다.
이어 `세계문화의 거리'에서 아프리카 부족 생활관, 유럽 생활관, 고대도시관, 인디언 빌리지 등 세계 각국의 문화와 풍물을 체험한다. 다음으로 `로봇사이언스 미래관', `주제영상관', `아름별이 놀이파크'를 골라 이용한다.
성인 관람객의 경우 `세계도시관'에서 뉴욕, 도쿄, 톈진 등 세계 100여개 도시의 역사·문화·환경 등을 관람하고 `‘꽃전시관에 들러 40만본의 계절 꽃을 감상한 뒤’`‘하이테크 프라자’, ‘`주제영상장', `‘로봇사이언스 미래관’을 취향에 맞게 선택해 둘러본다. 휴식을 취한 뒤 `‘비류공연장’,‘세계문화의 거리’, `‘디지털아트관’, `‘녹색성장관’을 순서대로 둘러보면 효율적으로 관람할 수 있다.
축전 주행사장을 오후 늦게 찾는 관람객들은 서해의 아름다운 낙조와 주행사장 미추홀 분수에서 매일 밤 폐장(오후 10시) 30분전부터 펼쳐지는 환상적인 멀티미디어 워터쇼를 즐길 수 있다. 이밖에 주행사장 주변에는 도보로 이동할 수 있는 거리에 첨단 유비쿼터스 기술을 체험할 수 있는 `투모로우시티와 수상택시가 운행되는 `중앙공원, 최신 컨벤션센터인 `송도컨벤시아, 65층 규모로 건립 중인 `동북아트레이드타워 등의 볼거리가 많다.
쪾관람은 어떻게?
도시축전은 8월7일부터 9월20일까지는 매일 오전 9시30분 개장, 오후 10시 폐장하며 9월21일부터는 주말.휴일을 제외한 평일 폐장 시간이 오후 8시로 2시간 앞당겨진다. 관람권은 성인 보통권은 1만8000원, 성인 단체권 1만4000원, 청소년 1만3000원, 어린이 1만원이다.
쪾가는 방법은?
송도국제도시내 축전 주행사장을 찾으려면 승용차를 이용할 경우 경인고속도로 종점(인천항)에서 좌회전한 뒤 송도해안도로를 이용해 송도국제도시 쪽으로 가면 된다. 제2경인고속도로는 인천 방향 문학IC에서 송도국제도시 쪽으로 빠져나가 송도2교를 넘으면 주행사장으로 곧바로 연결된다.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를 이용할 경우 장수IC에서 제2경인고속도로로 갈아타면 된다.
대중교통은 경인전철 부평역에서 인천지하철로 갈아탄 뒤 센트럴파크역에서 내리면 걸어서 2분 거리에 주행사장이 있다. 서울역과 강남역, 김포공항역, 광명역 등에서는 송도국제도시행 광역버스를 이용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