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28 (월)

  • 맑음동두천 16.4℃
  • 맑음강릉 16.9℃
  • 맑음서울 16.2℃
  • 맑음대전 17.9℃
  • 맑음대구 19.7℃
  • 구름조금울산 19.7℃
  • 맑음광주 18.1℃
  • 구름많음부산 17.6℃
  • 맑음고창 17.0℃
  • 흐림제주 17.0℃
  • 맑음강화 14.4℃
  • 맑음보은 16.7℃
  • 맑음금산 18.4℃
  • 맑음강진군 19.5℃
  • 맑음경주시 20.2℃
  • 구름많음거제 17.2℃
기상청 제공

사회

‘수능한파’ 없지만 체온관리 유의...전국 아침 0~5도

URL복사

최저기온 0~10도…낮 최고 15~18도
내륙 중심 낮과 밤 기온차 15도 내외
가시거리 200m~1㎞ 미만 안개 유의

[시사뉴스 김백순 기자] 목요일이자 2023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치러지는 17일은 전국 대부분 지역의 아침 기온이 0~5도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예년과 같은 '수능 한파'는 없으나 아침에는 쌀쌀한 날씨가 나타나는 등 일교차가 커 유의해야겠다.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전국 대부분 지역의 아침 기온은 0~5도를 기록하겠고 경기동부와 강원내륙·산지, 경북북부내륙은 아침 기온이 0도 이하가 되겠다.

 

내륙을 중심으로 낮과 밤의 기온차가 15도 내외로 매우 크겠으니 기온 변화에 따른 건강관리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기상청은 전했다.

 

아침 최저기온은 0~10도, 낮 최고기온은 15~18도를 오르내리겠다.

 

주요 지역 아침 최저기온은 서울 6도, 인천 8도, 수원 5도, 춘천 5도, 강릉 8도, 청주 5도, 대전 4도, 전주 6도, 광주 7도, 대구 5도, 부산 9도, 제주 11도다.

 

낮 최고기온은 서울 17도, 인천 16도, 수원 17도, 춘천 16도, 강릉 18도, 청주 16도, 대전 17도, 전주 17도, 광주 18도, 대구 17도, 부산 18도, 제주 18도다.

 

이날 오전 0시~9시 사이 경기북부와 경기동남부, 강원영서중·남부, 충청권내륙, 전북내륙에 가시거리 200m 미만의 짙은 안개가 끼는 곳이 있겠다. 그 밖의 내륙에는 가시거리 1㎞ 미만의 안개가 끼는 곳이 있겠다.

 

강이나 호수, 골짜기 주변에 위치한 도로와 교량에서는 주변보다 안개가 더욱 짙게 끼면서 가시거리가 갑자기 변하는 곳이 있겠으니 교통안전에 각별히 유의해야겠다.

 

새벽부터 아침 사이 짙은 안개로 인해 항공기 운항에 차질이 있을 가능성도 있다.

 

전국에 구름이 많다가 아침부터 차차 맑아질 것으로 예보된 가운데 오후 12~6시 제주도에는 가끔 빗방울이 떨어지는 곳이 있겠다.

 

미세먼지 농도는 전 권역에서 '보통' 수준을 보이겠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 “땅꺼짐 사고 예방을 위한 정책토론회”개최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특별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위원장 강동길)는 오는 4월 30일 오후 1시 30분부터 서울특별시의회 별관 제2대회의실에서 ‘서울시 땅꺼짐 사고 예방을 위한 정책 토론회’를 개최한다. 이번 토론회는 최근 빈발하고 있는 도심 내 땅꺼짐 사고의 원인을 점검하고, 이에 대한 예방 대책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땅꺼짐 사고 원인과 대책은 무엇인가?’를 주제로 열리는 이번 토론회는 서울시의원을 비롯하여 서울시 관계 공무원, 지하안전 및 지반공학 분야의 전문가 등이 참석하여 땅꺼짐 사고 예방을 위한 정책적·기술적 논의가 심도 있게 이뤄질 것으로 기대된다. 토론회의 주제 발표는 △서울시 지반침하 관리 현황 및 대책(박영서 서울시 도로관리과장) △지하개발이 지반침하에 미치는 영향 및 대책(이수곤 전 서울시립대 토목공학과 교수) △땅꺼짐 사고 원인과 조사방법(이종섭 한국지반공학회 부회장) 등이 있을 예정이다. 발표 이후 김용호 부위원장이 좌장을 맡은 종합토론에는 이호 한국지하안전협회장, 박윤규 ㈜대한콘설탄트 부사장, 이지영 한국도로공사 지하안전평가센터장, 이승우 도시기반시설본부 시설국 방재시설부장, 전기현 물순환안전국 물재생계획과장 등 학계·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