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위가 길어지고 있지만 가을을 준비해야 할 시기가 성큼 왔다. 한의학적으로 기온차가 심해지는 가을은 폐가 왕성하고 간이 쇠약해지는 계절이다. 이때 가장 조심해야 할 것은 감기. 그리고 감기와 증세가 비슷해 혼동하기 쉬운 알레르기 질환이다. 가을철 건강관리법을 감기를 중심으로 김진돈 한의학 박사(송파구, 본디올 운제당 한의원장, 한국노동교육원 객원교수, 경희대 한의대 외래교수)의 도움으로 알아보았다.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야
가을은 오곡백과가 무르익고 다가올 겨울을 견디기 위해서 동물들은 몸에 지방을 축적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지극히 생리적인 현상이다.
인체도 자연에 상응하기 위해서 봄여름에 바깥으로 기운을 발산했다면 가을과 겨울에는 신기를 안으로 모아야 겨울의 추위를 견뎌낼 수 있는 것이다.
특히 가을에는 뼈 속에 진액을 보충하고 살을 찌우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동의보감에 의하면 가을철 건강관리는 용평(가을에 만물을 거두어들이고 다시는 성장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라고 표현했다. 이시기에는 하늘의 기운은 쌀쌀해지고 땅의 기운은 깨끗해진다. 고로 밤에 일찍 자고 아침에는 일찍 일어나야 한다.
이를 잘 지키지 않으면 폐를 상하고 겨울에 가서 삭지 않은 설사를 하며 간직하는 기운을 도와주는 힘이 적어진다고 했다.
가을은 폐가 왕성하고 간이 쇠약해지는 계절이다. 아침저녁으로 기온차가 심해지고 하루가 다르게 추워지기 시작하기 때문에 폐기능이 왕성해야 이에 적응하기 쉽다.
증세 유난히 심하면 체질 점검을
감기만큼 흔한 질병도 드물 듯싶다. 몸이 허약한 사람들은 시도 때도 없이 감기 때문에 고생하기 일쑤다. 물론 감기는 심하지만 않으면 특별히 약을 먹지 않고도 일주일을 고비로 해서 치유되는 것이 보통이다. 그리고 바이러스 감염이 원인인 감기에는 아직 특효약이 없는 실정이기도 하다. 무슨 약을 사용해도 아픈 기간 자체를 크게 줄이지는 못한다는 얘기다. 다만 열이 심하면 해열제를, 콧물이 많이 흐르면 이에 대한 약을 사용하여 증세를 약간 완화시킬 따름이다.
감기는 무엇보다 감기 바이러스가 침투해도 그것을 이겨낼 수 있는 기초 체력을 기르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런데 감기에만 걸렸다 하면 꼭 코가 막힌다, 재채기가 나온다, 콧물이 줄줄 흐르거나 막힌다 해서 코감기에 걸리는 사람이 있다. 그런가 하면 몸이 오슬오슬 추워오면서 열이 나고, 마치 몸살을 앓듯 여기저기 쑤시고 아픈 사람이 있다.
또 감기에 걸리면 언제나 기침으로 시작하는 사람이 있다. 다른 증상을 보이다가도 항상 기침 소리를 빼먹지 않고 증상이 오래 가면서 쉽게 치료되지도 않는 것이다.
외모 따라 잘 걸리는 감기 따로 있다
우선 코감기에 잘 걸리는 사람의 생김새를 살펴보자. 피부색이 유난히 흰 사람, 콧구멍이 벌렁벌렁 움직이는 사람, 이목구비 중에서 코가 아주 큰 사람 등이 여기에 속한다. 이런 사람들이 바로 코감기 대장들이다. 환절기나 겨울철이 되면 코에다 마스크라도 하고 다녔으면 하는 체질이다.
피부색이 유난히 흰 사람은 체질상 외기(外氣)에 대한 적응력이 떨어지고, 폐 기능이 약하다. 때문에 찬바람을 약간만 많이 쐬면 어김없이 재채기를 하면서 기침이 정신없이 쏟아진다. 특히 오장육부 중에 폐는 코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므로 코 쪽으로 불편한 증상이 많이 나타나는 것이다. 이와 똑같은 이유로 코가 큰 사람이나 콧구멍이 벌렁벌렁 움직이는 사람들도 코감기에 자주 걸린다.
생긴 대로 병이 온다는 관점에서 질병을 치료하는 형상의학에서는 ‘큰 것이 병이다’라고 본다. 다시 말해서, 코가 큰 사람은 병이 오더라도 코 쪽으로 오고, 엉덩이가 큰 사람은 엉덩이 근처의 허리나 꽁지 뼈 쪽으로 병이 오기 쉽다.
이와 달리 기침감기로 고생하기 쉬운 체질로는 목이 짧고 어깨는 넓으면서 얼굴이 둥굴 넓적하게 생긴 사람, 이마 부위에 주름이 많이 잡혀 있는 사람, 코끝이 붉은 사람 등이 있다.
둥굴 넓적한 얼굴에 짧은 목, 그리고 어깨가 넓은 사람을 金체 혹은 甲류라고 한다. 갑류에 속한 사람들은 상상력도 뛰어나고 영감과 예감이 뛰어나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내는 직업에 아주 적합하다. 하지만 울기도 잘하고 우울해지기도 쉬운 체질이다. 한의학적으로 금체형들은 폐금이라 해서 폐와 관련된 호흡기 계통이 약하기 쉽다. 이 때문에 감기에 걸리면 유난히 기침이 심하고 천식으로 발전하기 쉽다.
이마 부위에 유난히 주름이 많이 잡히는 사람도 마찬가지다. 이마에 주름이 많이 잡힌다는 것은 폐의 허해서 나타나는 수가 많기 때문이다. 코끝이 붉은 것은 술을 마셔서 오는 주사비도 있지만 풍에 의해서도 붉어진다.
또 콩팥이 허약할 때도 붉어지는데 어떤 원인으로 코가 붉어졌든 간에 모두 건강이 나빠지지 않도록 각별히 조심해야 한다. 풍에 의해서 기침을 하는 것은 상풍(傷風)이라 해서 가래가 많이 끓고 땀이 줄줄 흐르며 토할 듯이 기침을 하는 게 특징이다.
코감기 심하면 신이, 진피, 박하 좋아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유방이 큰 사람에게 유방암의 발병 확률이 높다고 한다. 이는 모두 생긴 대로, 체질에 따라 병의 길이 따로 있다는 걸 말해 준다.
또한 한의학에선 콧구멍을 움직이는 것은 폐가 좋지 않아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생각한다. ‘동의보감’에 보면 ‘코는 폐의 관(管)이니 콧구멍을 움직이는 사람은 폐가 허한 것이며, 이런 사람은 체력이 떨어지면 천식이 생기고 코가 막힌다’고 했다.
따라서 이렇게 코감기로 고생하는 사람은 폐 기능이 저하되지 않았는지 체크해보는 것이 좋다.
코가 막힌다거나 콧물이 흐르고 재채기가 쉴새없이 터진다고 해서 코에만 신경을 쓸 것이 아니라, 근본 원인을 찾아내 치료해야 훨씬 효과적이라는 말이다.
민간요법으로는 코감기로 자주 시달리는 사람은 폐를 튼튼히 해주는 처방과 함께, 집에서도 신이라는 한약재를 차처럼 달여 마시면 도움이 될 수 있다.
신이는 꽃을 피우지 않은 상태의 목련꽃 봉오리를 채취해서 말린 것으로, 맛이 맵고 향이 있어서 폐 기능을 돕고 코의 기능을 회복시켜준다. 신이와 함께 진피(귤껍질)나 박하를 달여 마셔도 좋다. 하지만 증상이 심하면 전문가의 진찰을 받아보도록 한다.
[서울] (05510)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35가길11 (신천동) 한신빌딩 10층 | TEL : (02)412-3228~9 | FAX : (02) 412-1425
창간발행인 겸 편집인 회장 강신한 | 대표 박성태 | 개인정보책임자 이경숙 | 청소년보호책임자 김지원 l 등록번호 : 서울 아,00280 | 등록일 : 2006-11-3 | 발행일 : 2006-11-3
Copyright ⓒ 1989 - 2025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 Contact webmaster@sisa-news.com for more information
시사뉴스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