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건설업체 ‘줄도산’ 우려
집값 안정에만 열을 올린 정부는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면서도 시장의 불안심리 차단에 나섰다. 건설업체의 잇따른 부도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의 부실 우려 때문이다. PF란 금융기관이 아파트나 상가 등 특정 프로젝트 자체의 사업성을 보고 장기로 대출하는 기법이다.
이를 이용해 최근 주택시장에 뛰어들었던 중견 건설사들이 미분양 사태로 부도를 맞거나 건설사가 만기가 된 자산유동화증권(ABS)의 원금상환을 거부하기도 했다. 미분양, 미입주 물량으로 미수금이 발생해 시공사가 넘어가면 건설사가 이 미수금을 모두 책임져야 한다.
특히 분양시장이 급속히 경색되면서 분양대금을 담보로 발행된 ABS와 자산담보부 기업어음(ABC P)의 부실우려가 심화하고 있어 더 큰 문제다. 수도권 미분양 아파트가 8만5,000여호로 늘었고 지방의 미분양 주택이 94%에 달하고 있는 실정이다.
문제의 심각성은 PF대출이 유동화하면서 건설시장 부실이 금융부실로, 이것이 또 다른 부실로 전이될 수 있다는 데 있다. 신용이 낮은 사람에게 높은 금리로 주택담보대출을 해줬다가 부실을 초래해 생긴 미국의 서브프라임 사태와 비슷하다.
금융감독당국에 따르면 지난 6월말 현재 PF관련 금융규모는 69조9,000억원에 달한다. 이 중 순수 PF대출은 은행이 31조2,000억원, 저축은행 12조5,000억원, 보험사 4조2,000억원이다. 나머지 22조원은 PF를 유동화한 증권과 기업어음 등이다. 그러나 부실이 전이되기 시작하면 부실규모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고종완 RE멤버스 대표는 “지방주택시장은 빈사상태에 빠졌고 주택시장 붕괴-가계파산-금융부실 충격-건설사부도-지방경기 침체 가속화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며 “사태가 악화하기 전에 지방 미분양 해소를 위한 실질적인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