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29 (화)

  • 맑음동두천 13.5℃
  • 맑음강릉 13.9℃
  • 맑음서울 14.3℃
  • 맑음대전 15.6℃
  • 맑음대구 17.4℃
  • 맑음울산 12.9℃
  • 맑음광주 15.8℃
  • 맑음부산 13.4℃
  • 맑음고창 10.7℃
  • 맑음제주 14.3℃
  • 맑음강화 11.3℃
  • 맑음보은 13.3℃
  • 맑음금산 14.7℃
  • 맑음강진군 12.7℃
  • 맑음경주시 14.1℃
  • 맑음거제 13.7℃
기상청 제공

경제

올 건설.설비투자 `거의 제로'

  • 등록 2008.11.17 10:11:11
URL복사
건설과 설비 투자가 올 9월까지는 사실상 `제로' 상태를 보이고 있어 마이너스성장으로 빠져들 가능성이 나타나고 있다.
한국은행과 통계청은 17일 설비.건설 투자액 증가율이 올 9월까지 거의 `제로'상태이며, 민간분야 설비투자 선행지표도 97년 이후 최악의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 상태로는 올 연간 기준 설비.건설투자액이 8년만에 마이너스를 기록할 것으로 추산된다.
한국은행의 `국민소득 통계'에 따르면 올들어 9월말까지 설비.건설 투자액은 실질기준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0.4% 증가에 그쳐 작년 증가율 4.4%에 비해 크게 떨어졌다. 설비.건설 투자증가율은 2000년에 15.2%와 2001년 -2.9%를 기록했고, 이후 2002년 5.1% 2003년 4.1% 2004년 3.6% 2005년 1.3% 2006년 2.6% 등을 나타냈다.
설비투자는 1∼9월에 2.3% 늘어나 작년 같은 기간의 8.0%에 비해 크게 둔화됐다. 설비투자 증가율은 2004년 4.3%, 2005년 3.9%, 2006년 8.7% 등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가 올해 가파르게 둔화됐다.
건설투자는 작년 같은 기간보다 1.1%가 줄었다. 건설투자 증가율은 2003년 7.8%에 이르렀으나 2004년 3.1%로 둔화됐다. 이어 2005년 -0.5%, 2006년 -1.7%, 2007년 1.6% 등으로 부진한 모습을 나타냈다.
이런 추세대로 가면 올해 연간 건설.설비 투자증가율은 2001년(-0.5%) 이후 6년만에 처음으로 마이너스를 나타낼 가능성이 있다. 연간 건설.설비 투자증가율은 2002년 6.2% 2003년 4.3%, 2004년 2.1%, 2005년 2.1%, 2006년 3.1%, 2007년 3.9% 등이었다.
통계청에 따르면 설비투자 선행지표인 국내기계수주액은 전년 동월대비로는 9월에 33.4% 줄었다. 9월 감소폭은 2003년 3월의 46.6% 이후 최대다. 또 민간 제조업의 국내기계 수주액은 53.3%가 줄어 관련통계가 나오기 시작한 97년 6월이후 낙폭이 가장 컸다.
9월 건설수주액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40.4%가 줄었다. 공공부문은 7.8% 증가했으나 민간부문은 59.9%나 감소했다. 분야별로는 건축 50.4%, 주택 70.8%, 발전.송전 71.7%의 감소율을 나타냈다.
건설투자가 이미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설비투자 증가율이 갈수록 둔화하는 추세가 지속된다면 건설.설비투자 증가율이 마이너스를 기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지적이다. 다만 정부의 적극적인 경기부양책이 당장 건설투자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이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각종 투자가 위축된 것은 경제상황의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에서 대기업들이 경영 계획을 보수적으로 잡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규제가 많은 제도적 측면, 경기 침체, 기업가 정신의 약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이처럼 투자가 부진하면 당장 경제성장률에 직접적인 타격을 주게 된다. 민간소비가 부진한 상황에서 투자마저 나빠지면 내수경기가 더욱 침체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성장잠재력을 갉아먹게 된다는 점이 문제다. 설비투자가 둔화되면 미래의 기업 생산활동이 위축될 수밖에 없다. 건설투자 부진 역시 사회간접자본(SOC) 확충 지연으로 이어져 간접적으로 경쟁력을 낮추는 요인이 된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김형재 시의원, “서울시 홍보대사의 ‘무제한 연임’ 관행 사라진다”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특별시의회 김형재 의원(국민의힘·강남2)이 서울시 홍보대사의 무분별한 연임 관행을 방지하기 위해 대표발의한 「서울특별시 홍보대사 운영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 지난 25일 개최된 제330회 서울시의회 임시회 2차 본회의에서 최종 가결됐다. 그동안 서울시는 시정의 효율적인 홍보와 시 이미지 제고를 위한 차원에서 홍보대사를 무보수 명예직으로 위촉하여 운영해 왔다. 최근 5년간 위촉된 홍보대사만 해도 52명에 달한다. 현행 조례상 홍보대사의 임기는 2년이다. 그러나 연임 횟수에 대한 제한은 따로 없기 때문에 특정인이 장기간 홍보대사로 활동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고, 이에 따라 서울시 홍보대사직이 관행적으로 연임될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어 왔다. 김 의원이 대표발의한 이번 개정안이 서울시의회 본회의에서 가결됨에 따라 앞으로 서울시 홍보대사는 초임 2년을 포함해 최대 6년까지만 활동할 수 있게 됐다. 단 현 임기 중 시정홍보에 탁월한 업적을 인정받는 경우에 한해 추가 연임을 허용하는 예외 규정을 추가했다. 김형재 의원은 “그동안 서울시는 시정홍보와 시 이미지 제고를 위해 홍보대사를 위촉·운영해 왔지만, 최근 5개년간 위촉된 52명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