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29 (화)

  • 맑음동두천 13.5℃
  • 맑음강릉 13.9℃
  • 맑음서울 14.3℃
  • 맑음대전 15.6℃
  • 맑음대구 17.4℃
  • 맑음울산 12.9℃
  • 맑음광주 15.8℃
  • 맑음부산 13.4℃
  • 맑음고창 10.7℃
  • 맑음제주 14.3℃
  • 맑음강화 11.3℃
  • 맑음보은 13.3℃
  • 맑음금산 14.7℃
  • 맑음강진군 12.7℃
  • 맑음경주시 14.1℃
  • 맑음거제 13.7℃
기상청 제공

경제

대중국 무역흑자 3년째 감소

  • 등록 2008.11.20 15:11:11
URL복사
대 중국(對中國) 무역흑자가 3년째 감소했다. 2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한중 교역구조의 변화와 대응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올 9월까지 중국과의 무역흑자는 131억 달러로 작년 같은 기간의 137억 달러에 비해 줄었다. 이에 따라 연간기준의 대중 무역흑자도 작년의 190억 달러에 비해 줄어들 전망이다.
전광명 한은 국제무역팀 과장은 "이런 추세가 지속되면 대중 무역흑자가 3년째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이는 중국의 산업구조가 고도화되면서 수출 증가율이 둔화됐는데 비해 중국상품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 수입물량이 크게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대중 무역흑자는 지난 2003년 132억 달러에서 2005년 233억 달러로 증가해 정점을 찍은 뒤 2006년 209억 달러로 감소했다.
한은은 중국의 기술 경쟁력이 빠르게 향상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전기전자, 철강, 석유화학 등의 기술발전 속도가 빨라지면서 한.중 간의 기술격차가 크게 줄었다고 설명했다.
또 중국의 생산설비 공급능력이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다고 한은은 전했다. 1990년대 들어 감소했던 제조업투자가 2000년대 들어 연평균 30%를 웃도는 급증세를 지속하고 있으며 철강을 비롯한 1차 금속, 화학제품 및 비금속광물 소재, 컴퓨터 등의 생산능력이 크게 향상되고 있다는 것이다.
한은은 중국의 경쟁력이 빠르게 높아지고 있어 앞으로 동아시아 분업 구조에서 한국의 위치가 흔들릴 가능성이 있는 만큼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세계시장에서 한중 제품간 치열한 경합이 불가피하다는 설명이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김형재 시의원, “서울시 홍보대사의 ‘무제한 연임’ 관행 사라진다”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특별시의회 김형재 의원(국민의힘·강남2)이 서울시 홍보대사의 무분별한 연임 관행을 방지하기 위해 대표발의한 「서울특별시 홍보대사 운영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 지난 25일 개최된 제330회 서울시의회 임시회 2차 본회의에서 최종 가결됐다. 그동안 서울시는 시정의 효율적인 홍보와 시 이미지 제고를 위한 차원에서 홍보대사를 무보수 명예직으로 위촉하여 운영해 왔다. 최근 5년간 위촉된 홍보대사만 해도 52명에 달한다. 현행 조례상 홍보대사의 임기는 2년이다. 그러나 연임 횟수에 대한 제한은 따로 없기 때문에 특정인이 장기간 홍보대사로 활동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고, 이에 따라 서울시 홍보대사직이 관행적으로 연임될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어 왔다. 김 의원이 대표발의한 이번 개정안이 서울시의회 본회의에서 가결됨에 따라 앞으로 서울시 홍보대사는 초임 2년을 포함해 최대 6년까지만 활동할 수 있게 됐다. 단 현 임기 중 시정홍보에 탁월한 업적을 인정받는 경우에 한해 추가 연임을 허용하는 예외 규정을 추가했다. 김형재 의원은 “그동안 서울시는 시정홍보와 시 이미지 제고를 위해 홍보대사를 위촉·운영해 왔지만, 최근 5개년간 위촉된 52명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