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뉴스 우민기 기자]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30일 불법 사찰 의혹 관련한 아직 공개되지 않은 국정원의 존안 자료는 소상히 공개되고 평가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지사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국민으로부터 대리된 공적 권력에 대한 견제와 균형의 원리는 민주주의 시스템이 유지될 수 있는 최소한의 조건"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KBS '시사직격'에서 공개된 과거 국정원의 '이재명 사찰문건'을 소개하며, "당시 4대강을 비판한 시민단체를 지지했다는 이유로 대상이 되고, 심지어는 고(故) 노무현 대통령님 추도행사에서 추도사를 한 것도 '국정운영 저해 실태'의 사례로 보고됐다"고 비판했다.
이어 "저뿐만 아니라 국민께서 사랑한 대통령, 추모하고 추도사 올리는 것이 왜 사찰대상이고 '국정운영을 저해하는 행위'였을까. 공적 권력을 사유화하는 이 무도한 문화의 뿌리는 얼마나 깊고 넓게 퍼져있던 것일까"라고 따졌다.
그러면서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는 적폐청산에 우리 사회 기득권 세력의 저항이 얼마나 거셀지 짐작 가는 대목"이라고 꼬집었다.
이 지사는 "불법사찰해 여론전에 이용하고 당사자를 겁박하기도 했던 '달콤한' 관습을 엄벌하고 끊어내는 것은 불굴의 용기와 끈기가 필요한 일"이라며 "새삼 국정원 정보보고를 거부했던 노무현 대통령님의 원칙과 소신을 되새기게 된다"고 강조했다.